우연인지 필연인지 모르겠지만 현재 경제적으로 발전해 있는 미국, 유럽 대부분, 극동아시아 국가들이 온대 산림에 속한다. 숲은 이들 문명의 발전과 경제에 큰 기여를 한 동시에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이미 크게 변형된 생태계이기도 하다. 그러나 오늘날에는 숲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것이 한 나라의 경제적 수준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. 화석 연료를 사용할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국가의 경우 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. 나무가 줄어든 산에서는 영양소와 토양이 유출되어 나무가 더 자랄 수 없는 환경이 되고,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면 산은 완전히 헐벗은 상태가 된다. 나무가 없으면 단순히 경관이 나빠지거나 목재를 구할 수 없는 문제를 넘어서, 토양이 유출되고 대규모 산사태가 반복된다. 또 식물 기공을 통해 증 발산시키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 숲이 물을 보유할 수 없게 되고 하류에 홍수가 일어날 가능성도 매우 높아진다. 숲에 의존해서 서식하는 엄청난 수의 다양한 동물들이 순식간에 사라져버리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. 해방 후 헐벗어 있던 우리의 숲이 한 세대 만에 초록빛으로 변화한 것은, 우리나라 경제가 단기간에 급성장했음을 다른 방식으로 잘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. 실제로 한반도 중부 지방의 위성 사진을 인터넷으로 살펴보면 비교적 산림이 많은 남한과 달리 북한은 민동산들이 눈에 띈다.
'자연 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지구는 폭발하고 있다" 인류 멸종 경고까지 한 세계 석학들 (0) | 2021.09.28 |
---|---|
"中 우한연구소, 동굴박쥐에 변종 바이러스 전파 계획 세웠었다" (0) | 2021.09.23 |
가장 빨리 가라앉는 이 도시 운명, "한국에 달렸다"[슬라맛빠기! 인도네시아] (0) | 2021.08.19 |
[지구를 보다] 위성으로 본 불타는 그리스 섬..서울 절반이 잿더미 (0) | 2021.08.10 |
지구 종말인가?..공포영화 방불케 하는 그리스 산불 (0) | 2021.08.09 |